“문장기호 ABC: 나선형으로 심화하는 학습설계”

<하나가 아닌 다각도로 보여주면서 단계별로 심화해 나간다>


"하나의 접근에서 N개의 접근으로!" 아무리 합리적이고 조직적인 콘텐츠가 있다 해도 이를 학습자에게 어떻게 단계별로 체화(體化)시킬 것인가는 전혀 다른 문제입니다. 여기에 필요한 것은 하나의 체계이지만 이를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보게 하면서 점차 심화시키는 나선형 학습설계입니다.



가령, 우리는 영어 문장(sentence)을 8가지 품사와 3가지 준품사의 조합(품사적 관점)으로 볼 수 있고, ‘명사구, 형용사구, 동사구, 문장구’와 같은 4가지 구(phrase)의 연합체(4가지 구의 관점)로 볼 수도 있고, 1-1-1, 1-2-1-1-2와 같은 강약의 리듬을 가진 1차 정보와 2차 정보의 결합(영어 리듬적 관점)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영어 단락(paragraph)을 연습할 때도 처음에는 우리말로 된 단락을 읽고 ‘A는 B이다’로 요지(要旨, main idea)를 정리하게 하고, 그다음에는 영어로 된 같은 단락을 읽고 다시 요지를 정리하게 하면 우리말과 영어 둘 다 단락을 만드는 목적과 구성이 동일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다음 단락 안에서 ‘A는 B이다’의 A(topic)/B(comment)와 관계되는 말을 찾아서 연결하게 하고 이를 2분면→3분면→4분면으로 단계별로 정리하게 하고 마지막으로 main(1차)-support(2차), intro(2차)-main(1차)-support(2차)처럼 같은 구성요소를 가진 단락을 모아서 연습하면 단락의 핵심인 ‘연결성’과 ‘권력관계(단락구조)’에 눈을 뜰 수 있습니다.

“문장/단락을 각각 다른 시선으로 조감하라”

<한쪽으로 뚫리지 않으면 다른 각도로 뚫는다>


하나의 건축물이지만 앞과 옆과 위에서 볼 때가 각각 다르듯이 영어라는 하나의 체계(system)를 다각도로 볼 수 있게 되면 이 언어 전체에 대한 그림을 빨리 그릴 수 있고 무엇을 연습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가지게 됩니다. 즉, 한 방향으로 이 체계가 뚫리지 않으면 다른 각도로 보면 체계를 잡을 수 있습니다. 같은 내용에 다양한 시선을 제공해서 학습 전체에 대한 조감도(鳥瞰圖)메타인지(상위인지)를 가지게 하는 것이 나선형 학습 프로세스의 핵심입니다. 

“약점진단: 가로로 보던 것을 세로로 보게 하라”

<개인별 약점을 진단하고, AI로 그 약점을 보강하라>

   


하나의 관점으로 개념이 뚫리지 않을 때 A→B(A’)→C(A’’)로 나아가면서 다른 관점으로 보게 해서 개념 이해를 돕는 것이 나선형으로 올라가는 학습설계의 핵심입니다. 그리고 이때 A를 세로축의 로, B를 세로축의 로, C를 세로축의 로 보게 하는 것이 ‘맞춤형 진단평가’입니다. 진단평가는 가로로 진행되는 내용을 세로로 모아주고 개인별 약점을 보완해줍니다. 



시험은 머릿 속 분류함에서 데이터를 인출할 것을 강요합니다!” 문장과 단락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이 끝나면 약점진단(test) 응시하기 → 성적표(성적 약점진단 보고서확인하기 → 오답풀이 영상보기 → 성적표를 E-mail로 전송이 전산적으로 즉시 이루어집니다. 약점진단은 각각 1600제, 2400제, 4800제로 구성되고 10개의 문제에 하나의 문법 키워드가 배당됩니다. 수업이 횡적(가로)으로 진행된다면 약점진단은 종적(세로)으로 앞부분까지 누적한 내용으로 테스트합니다. 즉, 약점진단은 그 자체로 또 다른 한 권의 세로축 교재입니다.


실제 약점진단 성적표


위는 약점진단 성적표입니다. 약점진단(test)을 보면 위처럼 그 즉시 실시간으로 성적 처리가 전산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서 학습자의 성적표(성적 약점진단 보고서)가 화면에 뜨고 E-mail로도 전송됩니다. 매 시험 10개의 약점진단 키워드 중 오답률이 가장 높은 키워드의 약점진단 코멘트가 성적표에 기재됩니다.

[AK001: 한정사 구분]: 영어의 한정사는 the book, a lot of books에서의 the나 a lot of처럼 ‘명사의 대략의 범위를 미리 지정(한정)해 주는 말’로 ‘명사를 둘러싸는 막’입니다. 한정사는 my music teacher’s나 a lot of처럼 2단어 이상이 많기에 8품사로 분류되지 않습니다(준품사). 한정사는 영어 문장에서 10%의 비율을 차지하는 중요한 장치이지만 특히 우리나라의 학습자들에게 취약한 부분입니다. 한정사 연습 1단계는 한정사를 (1)관사/(2)지시사/(3)소유격/(4)수량어로 구분하는 힘을 기르는 것입니다. 한정사 중 (1)관사/(2)지시사/(4)수량어는 ‘셀 수 있음’과 ‘셀 수 없음’이라는 명사의 가산성(countability)이라는 특성과 직결돼 있습니다. 가령, earthquake(지진)이라는 명사를 익힐 때도 an earthquake, those earthquakes, many earthquakes, a number of earthquakes처럼 ‘한정사 + 명사(단수/복수)’를 하나의 세트로 훈련하면 명사 earthquake이 셀 수 있는 명사로 쓰인다는 ‘가산성’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습니다. 

가령, 문장기호 A16의 약점진단 1회 시험에는 10개의 키워드가 배당되는데, 그 중 첫 번째 문법 키워드인 ‘한정사 구분’이 약점으로 진단되면, 위와 같은 약점진단 코멘트가 성적표에 첨부되고 자신이 틀린 문제에 대한 풀이 영상을 시험 직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 명 한 명에게 최적화된 시험!" AI(인공지능 DiNA)가 실시간으로 약점진단에서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틀린 오답률 상위 30문제(시험 응시 전체 인원 기준)를 추출하여 개인 맞춤형 시험지인 ‘AI약점보강 1(test)’를 자동 생성합니다. 약점진단 점수가 70점(70%) 미만인 경우에는 필수로 ‘AI약점보강 1차’를 보아야 합니다(약점진단 점수가 70점(70%) 이상인 경우에도 학습자가 원하는 경우 ‘AI약점보강 1차’를 볼 수 있게 했습니다). 학습자가 온라인으로 응시하고 정답을 입력하면 성적표(성적 & 약점진단 보고서)가 즉시 전산 처리되어 보이고 성적표는 E-mail로 전송됩니다. 자신의 약점으로 진단된 부분의 약점 코멘트를 읽고 오답 영상을 듣습니다.

  

모든 학습자의 데이터를 분석해서 최적의 길을 제시한다 ‘AI약점보강 1차(test)’ 점수가 70점(70%) 이상일 때는 2차 시험 문제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AI약점보강 1차(test)’ 점수가 70점(70%) 미만인 경우 AI(인공지능 DiNA)가 실시간으로 'AI약점보강 1차에서 학습자가 틀린 문제'와 그 틀린 문제와 유사한 새로운 맞춤 추천 문제를 7:3의 비율로 추출하여 개인 맞춤형 시험지인 ‘AI약점보강 2(test)’를 자동 생성합니다. 학습자가 온라인으로 응시하고 정답을 입력하면 성적표(성적 & 약점진단 보고서)가 즉시 전산 처리되어 보이고 성적표는 E-mail로 전송됩니다. 자신의 약점으로 진단된 부분의 약점 코멘트를 읽고 오답 영상을 듣습니다.

 

시험은 과연 분류함이 만들어졌는지를데이터가 제대로 축적되었는지를 질문하는 도구입니다!” ‘AI약점보강 2차(test)’ 점수가 70점(70%) 이상일 때는 3차 시험 문제가 생성되지 않습니다. ‘AI약점보강 2차(test)’ 점수가 70점(70%) 미만인 경우 역시 실시간으로 'AI약점보강 2차에서 학습자가 틀린 문제'와 그 틀린 문제와 유사한 새로운 맞춤 추천 문제를 7:3의 비율로 추출하여 개인 맞춤형 시험지인 ‘AI약점보강 3(test)’를 자동 생성합니다. 같은 방식으로 테스트와 성적표 발송, 그리고 오답풀이가 진행됩니다.